• Home
  • About CDC
  • 지역개발에 대한 우리 이야기
  • Business
  • About Job
  • Edu/교육&훈련
  • 교육을 위한 입문
  • Membership/후원및 회원가입
  • Community news
  • 이민자 페이지
  • 도움정보안내/Help Resources
  • News and Notice/새소식 알림
  • About better business/후원자페이지
  • 우리 이웃의 이야기들
  • Donation/Sponsor-기부
지역개발원
  • Home
  • About CDC
  • 지역개발에 대한 우리 이야기
  • Business
  • About Job
  • Edu/교육&훈련
  • 교육을 위한 입문
  • Membership/후원및 회원가입
  • Community news
  • 이민자 페이지
  • 도움정보안내/Help Resources
  • News and Notice/새소식 알림
  • About better business/후원자페이지
  • 우리 이웃의 이야기들
  • Donation/Sponsor-기부

지역개발에 대한
우리 이야기

성공적인 지역개발을 이룬 새마을운동

6/14/2022

0 Comments

 
  1.  1970년대 농촌 지역 마을의 부흥을 가져온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박정희 정부 시절,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제창에 의하여 시발된후 1970년 10월에 본 격적으로 추진되어진 농촌 살리기 부흥 운동이었다.
이는 조상 대대로 내려왔던 가난을 극복하고 농민들로 하여금 스스로 일어날수 있는 자립과 협동심을 길러주는데 주안점을 두어 체계적으로 수립되어졌다.
1971년부터 1973년까지를 기반 조성기로 제우고, 이 때에는 주민 들 스스로의 노력으로 마을 공동 사업을 추진하여, 새마을 운동을 점화해 갔으며, 시범사업을 통하여 새마을 운동의 범량을 정립해 나갔다.
자조, 협동정신을 바탕을 둔 주민 자력 사업이 성공을 거두게 되자 박정희 정부는 1972년을 기준 연도로 제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끝나는 1981년까지 농촌 마을을 표준화하는 새마을 운동 장기 발전 목표를 수립하기에 이른다.
1970년 10월부터 1971년 6월까지 약 9개월에 걸쳐 실시된 새마을 가꾸기 사업은 놀라운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1972년 우수 마을 우선 지원 정책은 주민들에게 새마을 운동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실시 되었는데,  그 당시 빈민한 농총 지역이 발전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민들에게 심어주었다.
우수 마을에 선별의 형식은, 새마을 지도자의 활동사항, 주민 협동 체제의 여부, 자체 자금을 조성하여 실시하는 가 여부를 통하여 선별 되었다.
이렇게 진행되어져간 새마을 운동은 1974년부터 1976년의 새마을 운동 자조 발전기 시대를 거치면서, 새마을 운동은 모든 마을의 지역과 사회에 스며들기 시작하였고, 전 국민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확산을 촉진시켰다.
1974년부터는 정부 주도에서 주민들의 자율 책임 참여 분위기로 확대되면서, 생산 소득의 증대와 사회 기반의 확충, 농외 소득원의 발굴과 노임사업을 충점 추진해, 마침내 농가 소득이 도시 가구 소득에 근접 하였을 뿐만 아니라, 식량 자급화를 이루어 내는 실제적인 변화와 성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1977년 공장 새마을 운동 본부가 설립되어지고, 1979년에는 모든 마을이 자립화 됨에 따라 마을 발전 단계를 자립마을,  자영마을, 복지마을을 재정 립해 나갔다.
1980년도에는 민간 주도를 위한 새마을 운동 중앙 본부가 창설되어졌고, 새마을 협동 유아원이 전국적으로 설치 되었다.
이러한 정부의 ‘잘 살아 보세’라는 기치를 내걸고, 빈곤한 농촌 지역과 실의에 빠졌던 농민들과 주민들의 정신과 의식이 바뀌어 질수 있도록 추진했던 새마을운동의 3대 기본정신인, 근면, 자조, 협동은 전쟁으로 폐허가 되었던1970년대 시대의 가정과 사회 그리고 지역과 국가를 변화시키는데 커다란 원동력을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새마을운동의 3대 정신을 잠시 살펴 보도록 하자.
근면은 부지런함, 꾸준함, 알뜰함과 실천을 위한 한국민의 불굴의 의지를 담고 있었으며, 성실한 생활 자세를 독려 함으로, 사회 발전의 기초를 쌓아 나갔다.
자조는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책임을 전가하지 않으며, 자신의 역활에 최선을 다하는 생활 자세를 통하여,자립정신, 주인정신감을 심어 줌으로 스스로 주민들 스스로 자신감과 사명감을 갖고 자신의 삶을 개척해 갈수 있도록 장려함과 동시에 자기 극복의 실천 덕목을 쌓아 가도록 주민을 독려해 주었다.
협동은 상생과 배경의 공동체 정신으로 협동을 통해 일의 능률과 생산성을 높이고, 공통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새마을 운동을 지속해 가면서, 새마을운동을 이끌어 가는 지도자를 세워 주민들을 지속적으로 단합하여 새마을운동에 참여하게 하였는데, 그는 주민의 신망이 높은 사람으로, 다른 마을 주민들에게 신념과 겸손, 그리고 불굴의 인내력을 보여 주며, 솔선 수범하는 봉사자로서의 삶을 나타냄으로 마을 주민들이 이러한 새마을 운동 지도자의 모습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새마을 운동에 함께 참여하게 됨으로 말미암아, 마을 소득은 증대되어지고, 개인 소득은 향상되어지고, 영농 방법의 개선과 기술 향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를 통해서, 정부는 농한기를 활용한 소득 사업 추진과 농의 소득을 장려하게 되었다.
이러한 새마을 운동의 주체는 마을 주민 스스로가 이끌어가는데 목적을 두고 장려하였다.
새마을운동이 성공적인 방향으로 전환 되어가는데 있어서, 주민들의 답합과 자발성은 큰 몫을 차지하였다.
그당시 정부에서는 모든 마을을 3-5 단계로 평가해 구분 관리했는데, 지원은 단계별로 차등화하고 주민자 부담 원칙의 매칭 펀드제와 우수 마을 지원 책을 지켜 나갔다.
전국에 새마을 유치원을 설립 함으로 농촌의 여성들의 참여가 높아지면서 실 없는 사람들이 벌이는 도박이 줄어들게 되었고, 가정 의례가 간소화 되었으며, 한 가정에 한 사람씩, 마을 정회나 새마을 사업에 참여케 하여, 동네 구판장 운영을 마을에 시행하게 됨으로 주민 생활이 개선되어져 나가도록 독려해 주었다.
이러한 새마을 운동으로 인해 지역은 개발 되어지고 농촌은 변화되어지기 시작했는데,
1972년도 16%였던 통일벼 보급률이 1977년도에는 55%로 늘어났으며,
핵터당 쌀 수확량은 3.34톤에서 4.94톤으로 거의 50%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1970년도 824달러였던 농가소득원은 1977년도에 1961달러로 3.6배 높아졌으며,
전기는 1970년도 20% 수준이었던 것이 1977년도에는 전국 농가의 98% 수준으로 보급이 증가되었다.
초기 새마을 운동 사업을 통해 한국의 농촌 마을의 초가집이 개량되어지고, 집안까지 경운기가 들어갈 수 잇또록 마을 안길이 넓어 지는 등 농촌 인프라가 개선되었으며, 전기와 전화가 가설돼, 최소한의 문화 생활도 누릴수 있게 되었고, 매년 소득이 23%씩 증가해 가기 시작했으며, 노동간 격차 해소에도 큰 역활을 하게 되었다.
이당시 새마을 운동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가 지원한 지원금은 마을당 연간 2000달러에 불과했다.
그러나, 주민 스스로 연간 8일의 노동력과 1700평의 토지를 내놓아 ‘잘 살아 보세’의 기치아래 살고자
주민들이 협동하여 함께 이룬 성과는 대단하였다.
1960년대의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되었던 도시와 농촌의 주민들의 마음에, 근면과, 자조, 협동 이라는 3대 정신 슬로건을 내걸고 추진했던 박정희 정부의 새마을 운동은, 그당시 가난하고 궁핍했던 사회와 국민들에게 “잘 살수 있다”는 희망과 재건에 대한 꿈을 심어주었다.
새 마을 운동은 전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는데 중요한 기치를 발휘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한국 국민들이 스스로 일어날 수 있는 힘과 용기를 키워주고, 그들 스스로 나라를 발전시킬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정신적인 혁신을 통하여 한국 경제의 기반을 마련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지금의 부유한 대한 민국을 세워가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원동력을 제공해 주었다는데 있어서 큰 의의를 찾아 볼수 있겠다.


0 Comments

    CDC 개발국장

    오늘을 사는 우리가 배워야 할 1970년대를 부흥시킨 혁신적인 지역개발, 새마을 운동에 대한 이야기

    지역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끈  1970년대의 한국의 새마을 운동

    June 2022

    성공적인 지역개발을 이룬 새마을운동-1970년대의 한국

    All

    RSS Feed

Contact us :  cdcforkorean@gmail.com (CA in USA)  
  South Korean(남한)에서 미국의 저희 본사로 연락을 주시려면  
  이메일로 연락 : cdc21c@gmail.com       
for Korean customers(한국에서 상담하시기 원하시면) 
cdcforkorean@gmail.com
미주 지역 개발원 은 미국내의 캘리포니아 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We are in CA, USA
​
Copyright by CDC/CDC-education. All rights reserved. 
Proudly powered by Weebly
  • Home
  • About CDC
  • 지역개발에 대한 우리 이야기
  • Business
  • About Job
  • Edu/교육&훈련
  • 교육을 위한 입문
  • Membership/후원및 회원가입
  • Community news
  • 이민자 페이지
  • 도움정보안내/Help Resources
  • News and Notice/새소식 알림
  • About better business/후원자페이지
  • 우리 이웃의 이야기들
  • Donation/Sponsor-기부